예전엔 ‘콜레스테롤’ 하면 무조건 나쁘다고만 생각했어요. 하지만 요즘은 건강검진 때 혈중 지질 수치 하나하나가 얼마나 중요한지 깨닫게 되죠. 특히 고지혈증과 동맥경화는 심각한 합병증의 원인이 되기도 해서 방치하면 안 돼요. 초기에 자각 증상이 거의 없기 때문에 조용한 살인자라고도 불릴 정도인데요, 이번 글에서는 이 두 질환이 우리 몸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그리고 어떤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려고 해요. 건강을 지키기 위한 첫걸음, 지금부터 함께 알아볼까요?
고지혈증은 말 그대로 혈액 속에 기름 성분이 많은 상태예요.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수치가 높아지면 혈관 벽에 쌓이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동맥경화의 시작이죠. 특히 LDL 콜레스테롤, 흔히 ‘나쁜 콜레스테롤’이라고 불리는 수치가 높을수록 혈관 내벽에 찌꺼기가 달라붙어 혈관이 점점 좁아지고 딱딱해져요. 이로 인해 혈류 흐름이 방해받고 결국 심장이나 뇌 같은 중요한 기관으로 가는 피의 흐름이 차단되면 심각한 문제가 생기게 돼요.
동맥경화가 가장 크게 영향을 주는 곳이 바로 심장이에요.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막히면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이 발생할 수 있거든요. 특히 갑자기 가슴을 꽉 조이는 듯한 통증이 느껴진다면 이미 혈관이 많이 좁아졌다는 신호일 수 있어요. 고지혈증이 오래되면 혈전도 잘 생기는데, 이 혈전이 혈관을 완전히 막아버리면 심장마비로 이어질 수 있어요. 심장 질환은 조기 발견이 중요한 만큼, 고지혈증은 반드시 관리해야 해요.
말초혈관질환은 다리나 팔처럼 신체 말단으로 가는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히는 병이에요. 특히 다리 혈관이 막히면 조금만 걸어도 종아리가 아프고, 쉬면 괜찮아졌다가 다시 아픈 증상이 반복돼요. 이걸 간헐적 파행이라고 해요. 심한 경우엔 상처가 잘 아물지 않거나 피부색이 변하기도 하죠. 고지혈증과 동맥경화는 이런 말초혈관질환의 주요 원인이기 때문에, 중년 이후에 다리 통증이 생기면 단순한 근육통이 아닐 수도 있다는 점, 꼭 기억하세요.
당뇨와 동맥경화는 서로를 악화시키는 관계예요. 혈당이 높으면 혈관 내벽에 손상이 생기고, 그 틈으로 콜레스테롤이 침투해 동맥경화를 촉진하게 되죠. 반대로 동맥이 막히면 혈액 공급이 줄어들고, 인슐린 작용이 떨어지면서 혈당 조절도 더 어려워져요. 특히 당뇨가 오래되면 신경까지 손상되기 때문에, 말초혈관질환과 겹치면 상처 하나로도 큰 합병증이 생길 수 있어요. 그래서 당뇨 환자일수록 혈관 건강을 더 철저히 관리해야 해요.
동맥경화가 뇌로 가는 혈관을 막으면 뇌졸중이 발생할 수 있어요. 뇌에 산소 공급이 끊기면 뇌세포가 손상되면서 마비나 언어장애, 심한 경우 생명까지 위협하게 되죠. 특히 중풍이라 불리는 허혈성 뇌졸중은 고지혈증과 밀접하게 연관돼 있어요. 혈액 속에 기름기가 많으면 혈전이 생기고, 그 혈전이 뇌혈관을 막으면 심각한 후유증이 남아요. 갑자기 말이 어눌해지거나 한쪽 팔다리에 힘이 빠지는 증상이 있으면 바로 병원에 가야 해요.
혈관은 전신에 산소와 영양을 공급하는 통로이기 때문에, 혈관이 건강하지 않으면 만성질환도 더 쉽게 생기고 악화돼요. 고혈압, 만성 신장질환, 심부전 같은 질환은 모두 혈관 상태와 깊이 관련돼 있어요. 혈관이 좁아지면 심장은 더 세게 펌프질해야 하고, 그 과정에서 심장 기능도 점점 약해져요. 신장 역시 혈류가 줄어들면 제 역할을 못하게 되고요. 그래서 고지혈증은 단순한 수치 문제가 아니라, 전체 건강에 영향을 주는 핵심 요소라는 걸 꼭 기억하셔야 해요.
고지혈증과 동맥경화는 눈에 보이지 않지만 우리 몸 곳곳에 조용히 영향을 미치는 무서운 질환이에요. 그런데도 평소엔 잘 느껴지지 않아서 방치하기 쉬운 게 사실이죠. 하지만 오늘 말씀드린 합병증들을 생각하면, 이제부터라도 혈액 속 지방 수치와 혈관 건강을 꼼꼼히 챙겨야 한다는 생각이 드시지 않나요? 건강한 식습관, 꾸준한 운동, 정기적인 검사만으로도 충분히 예방과 관리가 가능해요. 지금부터라도 나의 혈관을 위한 실천을 하나씩 시작해보세요.